[백준] 2504 - 괄호의 값 Python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04
2504번: 괄호의 값
4개의 기호 ‘(’, ‘)’, ‘[’, ‘]’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괄호열 중에서 올바른 괄호열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 한 쌍의 괄호로만 이루어진 ‘()’와 ‘[]’는 올바른 괄호열이다. 만일
www.acmicpc.net
다음 규칙에 따라 괄호열의 값을 계산해 출력하는 문제다.
- ‘()’ 인 괄호열의 값은 2이다.
- ‘[]’ 인 괄호열의 값은 3이다.
- ‘(X)’ 의 괄호값은 2×값(X) 으로 계산된다.
- ‘[X]’ 의 괄호값은 3×값(X) 으로 계산된다.
- 올바른 괄호열 X와 Y가 결합된 XY의 괄호값은 값(XY)= 값(X)+값(Y) 로 계산된다.
문제 설명에 따르면 (()[[]])([]) 의 괄호값은, ()[[]] 의 괄호값이 2 + 3×3=11 이므로 (()[[]]) 의 괄호값은 2×11=22 이다. 그리고 ([]) 의 값은 2×3=6 이므로 전체 괄호열의 값은 22 + 6 = 28 이다. 이를 부분 부분으로 쪼개서 해석하면, (()[[]])([]) 는 (()[[]]) + ()[[]] 과 값이 동일하고, (()[[]]) 는 () + [[]] 값에 2를 곱한 값과 동일하다. 이를 일반화하면, 주어진 괄호열은 부분 괄호열로 쪼갤 수 있고, 각각의 합을 더해 최종 괄호열의 값이 결정된다.
따라서 빈 문자열을 base case 로 설정해 1을 반환하게끔 하면,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답을 구할 수 있다.
- 각 재귀 호출마다 가장 바깥 괄호마다 (괄호 내부 괄호열을 계산한 값) * (괄호의 값) 을 계산해 총합을 반환한다.
예를 들어, []() 의 경우, [] 는 괄호 내부 괄호열을 계산한 값이 base case 이므로 1 이고, 괄호의 값은 3 이므로 3이다. () 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2이다. 따라서 총합은 5 임을 알 수 있다.
가장 바깥 괄호임을 확인하는 방법에서 스택이 이용된다. 괄호열의 각 문자들을 스택에 집어넣으면서 () 또는 [] 가 만들어질 경우 스택에서 pop 시킨다면 가장 바깥 괄호쌍이 이루어질 때 스택이 비게 된다. 따라서 이 경우 재귀 호출을 통해 내부 괄호열을 계산한 값을 가져오고, 이를 괄호의 값과 곱해, 총합을 계산하도록 한다.
재귀 호출을 그림으로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. 문제에서 설명한 (()[[]])([]) 의 경우를 예시로 사용했다.
번호는 각 노드의 방문 순서, 입력으로 주어지는 괄호열을 노드 옆에 표시했다.
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다.
- 1번 = 2번*2 + 6번*2 = 22 + 6 = 28
- 2번 = 3번*2 + 4번*3 = 2 + 9 = 11
- 3번 = 1
- 4번 = 5번*3 = 3
- 5번 = 1
- 6번 = 7번*3 = 3
- 7번 = 1
전체 코드는 아래와 같다.
from sys import stdin
S = stdin.readline().rstrip()
def dfs(S):
if S == "":
return 1
stack = []
cnt = 0
s = 0
for i in range(len(S)):
if not stack:
stack.append(S[i])
continue
if stack[-1] + S[i] == "()" or stack[-1] + S[i] == "[]":
stack.pop()
else:
stack.append(S[i])
if not stack:
if S[i] == ")":
cnt += dfs(S[s+1:i])*2
elif S[i] == "]":
cnt += dfs(S[s+1:i])*3
s = i+1
if stack:
return 0
return cnt
print(dfs(S))